一萬書庫

벗어남의 철학 본문

2021

벗어남의 철학

Power Reviewer 2021. 2. 7. 19:11

 

 

【 탈합치 】- 예술과 실존의 근원

_프랑수아 줄리앙 / 교유서가

‘벗어남의 철학’

“어떤 관념이 합치될 경우 그것은 이데올로기가 된다. 그런데 이데올로기의 합치는 세계화, 전 지구적 시장, 미디어의 지배, 일반화된 연결망의 기둥 등으로 인해 세계의 법칙이 되었다. 그러나 이를 규탄하는 데 머무는 것은 헛된 일이다. 규탄은 힘도 없고 의거할 토대도 없으며 사람들이 듣지도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다수의 지엽적인 ‘현장에서의’ 탈-합치들이 서로 마주치며 퍼져나갈 때, 따라서 안착된 합치들에 은미한 균열을 일으킬 때 합치의 은신처를 무너뜨릴 수 있다.”

‘탈-합치’라는 단어는 이 책의 저자인 프랑스의 철학자 프랑수와 줄리앙이 만든 신조어다. 줄리앙은 40여 년간 중국사유와 서양사유를 맞대면시키는 작업을 해왔다. 중국학의 차원을 뛰어넘어 완전히 새로운 사유를 펼쳐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동안 동서양 사유의 관계를 통찰한 40여 종의 단행본을 저술했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방대한 지적 자산을 토대로 독창적인 문화론과 실존의 윤리학을 정립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의 서문에서 두 가지 중요한 질문을 제시한다. 인류 삶의 진화 자체에서 이탈을 통해 인간이 된 존재가 출현할 수 있었고 대자연과 간극을 벌리게 된 것은 무엇에 기인했는가? 또한 의식으로 불리는 것이 세계에 대한 탈착(脫着)을 통해 인정될 수 있고, 세계 안에서 자유로서 전개 될 것을 세계의 응집에 균열을 냄으로써 받아들이게 된 것은 어디서 유래했는가?

저자는 이에 대한 일차적인 답을 이렇게 설명한다. “삶의 외부에서 부과된 명령, 다른 질서에 의거하지 않는 윤리가 이로부터 도출될 것이다. 이는 자기 자신과 합치함으로써 안정화된 모든 적합성이 합치에서 생산력을 잃는다는 사실에서 비롯하므로 동시에 합치로부터 탈결속하는 윤리다. 특정 자아에 매몰시키는 일치의 바깥, 특정 세계 안에 가둬버리는 적합성의 바깥에 서게 해주는 돌파나 탈주야말로 ‘실존’의 능력 그 자체가 아닌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탈-봉인(封印)’, ‘우발적인 것과 조정된 것’, ‘산다는 것은 탈-합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탈합치에서 의식이 비롯된다’ 등을 이야기하며 ‘근대성’으로 마무리한다. “확립과 동시에 고정되는 모든 질서를 내부에서 해체하며 우리가 상상하지 못했던 자원을 나타나게 하는 탈-봉인(封印)을 나는 탈-합치로 명명할 것이다.”

‘산다는 것은 탈-합치하는 것이다’는 무슨 뜻인가? 산다는 것, 살아있다는 것은 나와 세상과 단절이 없을 때 건강한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산다는 것이 영속을 위해 이전 상태를 연장하고 지속만 하는 것일까? 저자는 이러한 상태는 삶이 굳어지고 해체되어 죽음을 향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한다. 따라서 산다는 것은 오히려 이전 상태를 벗어나는 일이고 밀착 상태의 결속을 지속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깨는 일이라는 것이다. 이는 그러한 상태로부터 새로운 것을 계속 나타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한다.

“다시 말해 산다는 것은 ‘현재’라고 칭해지는 상태에 이른, 따라서 그 상태의 고갈에 이른 적합성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삶을 다시 가동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산다는 것은 계속해서 살기 위해 이전 상태에서 단절 없이 탈-합치하는 것이다.”

줄리앙 교수의 탈-합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러나 도전해볼 만한 과제이다. 이 책을 옮긴이 이근세 교수는 역자 후기에서 “탈합치는 자유의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표현이다. 탈합치에는 지성과 통찰력, 특히 큰 용기가 필요하다. 탈합치의 실천은 어렵지만 그만큼 소중하다”라고 적었다. 탈합치는 영혼의 자유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나는 ‘벗어남의 철학’이라고 이름 붙인다.

 

 

'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여름의 폭설  (0) 2021.02.25
세브란스 마인드  (0) 2021.02.11
불 꺼진 방의 작은 촛불  (0) 2021.02.05
기후위기 시대  (0) 2021.02.03
협상의 기술, 두 번째 이야기  (0) 2021.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