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萬書庫

열등감과 우월감 , 동전의 양면 본문

2016

열등감과 우월감 , 동전의 양면

Power Reviewer 2016. 8. 24. 12:21

 

 

 

 

 

  【 나는 괜찮지 않다 】      배르벨 바르데츠키 / 와이즈베리

 

 

1.

외나무다리가 있다. 밑에는 물이 흐른다. 다리 양 옆으로 팻말이 붙어있다. 왼쪽에는 행복, 오른쪽에는 불행이라고 적혀있다. 물은 같은 물이다. 이 다리는 온전히 끝까지 가기에는 무리다. 다리를 건너가면서 이쪽저쪽으로 빠질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같은 물임에도 불구하고, 왼쪽이냐 오른쪽이냐(바뀌어도 상관은 없다)에 따라 울고 웃고 한다. 다리는 우리 각자가 걸어가는 삶의 여정이다. 물론 명료한 행, 불행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감정의 동요, 내면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행, 불행은 내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 살아가는 삶의 여정을 내 나름대로 그려봤다.

 

2.

열등감과 우월감은 실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 대목에서 위와 같은 예화를 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이 책은 특히 여성들의 심리 상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자의 심리학(2006년 북폴리오 초판 출간)의 개정판(와이즈베리)으로 책의 제목이 나는 괜찮지 않다로 바뀌었다. 책의 부제는 자신감과 열등감 사이를 방황하는 여성들을 위한 심리처방전이다. 지은이는 특별히 여성의 착각 속에 존재하는 열등감과 우월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시 말해, 자기가 잘난 구석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보잘 것 없는 존재라는 착각, 자기가 남들과 비교해 너무 못나거나 잘났다는 착각, 하나의 인간으로서 남들보다 자기가 열등하거나 우월하다고 믿는 착각 등을 가리킨다.

 

3.

열등감과 우월감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예로 들어보자. 이들은 우월감에 빠져 있는 동안에는 우월감에 푹 취한다. 열등감은 떠올리지 않는다. 하지만 누군가로부터 비판을 받으면 그 즉시 우울증에 빠져들면서 보잘것없고 못난 자기 모습에 열등감을 느끼고 괴로워한다. 열등감에 빠질 때도 우월감에 빠질 때와 마찬가지로 열등감에 푹 취해서 우월감에 젖었을 때의 느낌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열등감에 빠진 순간에는 우월감을 부인한다. 이들의 내면에는 당당한 사람 한 명과 열등의식에 사로잡힌 사람 한 명이 공존한다.”

 

4.

이 책의 지은이 배르벨 바르데츠키는 상처받은 마음을 전문적으로 치유해온 독일 최고의 심리학자이자 심리상담가이다. 지은이가 관여하는 그뢰낸바흐 심인성 질환 클리닉은 각종 중독에 시달리는 환자들을 치료하는 곳이다. 1980년대 초부터 섭식장애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클리닉에선 해당 환자들을 위한 치료 지침을 개발하기로 했다. 그래서 여성적 나르시시즘이라는 치료개념이 탄생했다.

 

 

5.

남성적 나르시시즘과 여성적 나르시시즘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지은이는 처음에 나르시시즘은 남자들의 전유물이라 생각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알코올 의존증 환자 등 제한된 남자들에게만 해당된다고 여겼다. 마초들, 자기애적 인격장애 환자들도 나르시시즘이라 단정 지었다.

남성들은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려하고 그 영역을 침범당할까 봐 두려워하는 반면, 여성들은 지나치게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여성들이 품고 있는 적응의 목적은 타인의 인정을 얻는 것이다. “남성적 나르시시즘과 여성적 나르시시즘은 동전의 양면과 같고, 두 가지 유형 모두 나르시시즘이라는 기본적 장애를 바탕에 깔고 있지만, 겉으로는 다른 형태로 표출된다. , 여성은 집착하고 남성은 기피한다.”

 

6.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 백설공주에 나오는 이 질문은 자기만큼 예쁘거나 자기보다 더 예쁜 여자를 발견한 여성의 불안감을 대변한다. 지은이는 백설공주를 중심으로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치유 과정을 풀어나간다. 백설공주에는 새로운 자아를 향해 나아가는 길이 잘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백설공주는 엄마가 원하는 모습으로 자라야했다. 독립적인 인격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게다가 쫓겨나고 살해당하기 직전까지의 끔찍한 경험 속에서 백설공주는 유기와 우울을 맛봐야 했다. 그러나 어쨌든 살아남아야했다. 살아있어야 했다. 백설공주가 사냥꾼을 만났을 때 부탁이에요, 사냥꾼님, 제발 목숨만 살려주세요. 그러면 숲속 깊은 곳으로 들어가서 살게요. 다시는 집으로 돌아가지 않을게요.” 지은이는 이 대목을 주목한다. “이 대목에서 백설공주는 중독이나 우울증 혹은 질병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길, 미지의 길, 두려운 길을 걷는 쪽을 택한 것이다. 그 결정을 계기로 변화가 시작된다.”

 

 

7.

마음의 병은 개인적 운명인 동시에 집단적 병리현상이라고 한다. 이 책을 통해 전개되는 이야기가 폭식증, 거식증 등 각종 섭식장애를 비롯해 알코올, 약물 등 각종 중독 증세를 앓고 있는 환자들만의 이야기일까? 나는 괜찮은가? ‘나는 괜찮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면, 이 책을 만나 보는 것이 좋겠다

 

 

'2016'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닷없는 고양이  (0) 2016.09.01
무엇을 믿고 살아갈 것인가?  (0) 2016.08.30
부모와 아이가 함께 하는 자기조절법  (0) 2016.08.20
인간에 대한 예의가 살아있는가?  (0) 2016.08.18
스토리텔링이 있는 DNA  (0) 2016.08.17